하마평(下馬評)이 무성하다. 재선에 성공한 민선 7기 원희룡 도정의 ‘새판 짜기 인사’에 대한 설왕설래(說往說來)다.

이른바 ‘빅 쓰리(Big 3)로 이야기되는 정무부지사와 제주시장․서귀포시장에 대해서는 실명까지 오르내리고 있다.

출처가 없거나 모호한 지레짐작 형 ‘소문 짜깁기’다.

‘신뢰성 제로’의 헛소문일 뿐이다. 그래서 “소설을 쓰고 있다”는 일각의 이죽거림도 없지 않다.

거론되는 인사가 탈락했을 때, 그들이 입을 마음의 상처는 누가 치유해주고 구겨진 자존심은 누가 책임질 것인가.

물론 원도정의 ‘인사 새판 짜기’는 상수(常數)임에 틀림없다.

새 임기 시작이 닷새 앞으로 다가선 점을 감안하면 그러하다.

특히 개방형 직위인 ‘빅3’인 경우는 공모 과정과 청문회 등 일정한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사가 빨라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올 법도 하다.

그러나 이와 달리 ‘늦어 질것’이라도 소리도 들린다. 고심에 고심을 거듭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어서 그렇다.

고위 행정직 출신에다 도의회의 수장을 지냈고 원지사의 퍼스넬리티에 대한 나름대로의 분석틀을 갖고 있는 인사의 예측이 그렇다.

이번 민선 7기 인사는 제주도와 제주도민은 물론 원지사 본인에게도 매우 중대하고 뜻 깊은 작업이다.

인사의 성패에 제주도정의 성패가 달려 있다. 원지사의 향후 정치적 입지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원지사는 중앙정치권에서 지리멸렬한 야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후보로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4년을 제주도와 제주도민을 위해 멸사봉공(滅私奉公)하겠다는 다짐에도 불구하고 전국차원의 정치적 몸무게는 결코 가볍지가 않다.

이번 인사가 남다를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원지사는 소속된 정당이 없다. 무소속이다.

여야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활동 반경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회는 이들 정당으로부터 협조와 지원을 받을 수 있을 때의 이야기다. 그렇지 못할 경우는 위기로 작용할 수가 있다.

원활한 정책 추진이나 성공적 공약 이행을 위해서는 도의회를 완전 장악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의 협조와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새로 출범하는 원도정이 도의회 민주당과의 ‘협치 연정’이 불가피한 이유다.

민선7기 원희룡 도정 ‘새판 짜기 인사’의 최대변수가 여기에 있다.

사실 ‘협치(協治)’는 원지사의 정치철학이다. 지금도 유효한 도정추진 아젠다라 할 수 있다.

4년 전 민선6기 도정 출범당시 원지사는 “야당이 천거한 인사를 통해 큰 폭의 통합을 이루고 건강한 내부 견제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이어서 “어떤 직책이든, 어떤 인물이든, 제한을 두지 않고 폭넓게 인재를 등용할 것”이라고 했다. 야당과의 사실상 연정(聯政)을 선언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당시 도지사 선거 경쟁관계 상대 당 후보였던 인사를 ‘도정 인수위원회 위원장’으로 추대 영입 했었다.

상대 당에 개방형 직위 공직자를 추천해 주도록 의뢰하기도 했었다.

시민단체 활동가 출신을 제주시 행정시장에 발탁하기도 했었다.

이 같은 원지사의 일련의 협치 또는 거버넌스 실험이 상대 당의 비토와 인사검증 실패로 빛을 잃어버렸다.

‘협치의 실패’, ‘협치의 실종’이라는 호된 비판도 없지 않았다.

그러나 이번은 다르다. 실험으로 끝날 수 없을 정도로 절박하고 시급한 상황이어서 그렇다.

그렇기 때문에 원지사는 이른바 ‘빅3’ 등 주요 포지션에 대한 민주당의 추전이나 천거를 받아 정책 결정이나 집행과정에 권한과 책임을 공유하는 ‘협치 연정’ 제안을 염두에 둘 수도 있다.

‘협치 연정’의 또 다른 ‘필요충분조건’을 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만큼 상황이 녹록치가 않다.

이처럼 민주당과의 ‘협치 연정’이 절박하고 지사의 실천의지가 확고해도 칼자루는 민주당이 쥐고 있다,

민주당이 거부하면 시쳇말로 ‘말짱 헛일’이다.

물론 민주당의 협치 거부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나 도민사회 일각의 반발도 예상할 수는 있다.

원지사의 ‘새판 짜기 인사’ 고민은 이처럼 복잡하고 풀기가 쉽지 않은 ‘방정식’이다.

도의회 민주당과의 ‘협치 연정’이 어려워질 경우, 원지사의 선택지는 더욱 좁아 질 수밖에 없다.

그래서 ‘제3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가령 여론주도층인 시민사회단체와 능력을 검증받은 각계 전문가 그룹, 확실한 지지 조직인 선거캠프의 유력 인재를 묶어 우군화 하는 방안이다.

이들을 망라하여 수직적 통제와 집행보다 수평적 협력과 자율이 강조되는 시대적 변화와 흐름에 동참하는 ‘제주 거버넌스를 구축’ 하는 것이다.

이는 사실상 ‘사회적 협치 시스템’이다. 이렇게 될 경우 ‘인사 풀’을 넓힐 수 있다.

이너서클 등 강고한 친정체제 구축으로 강력한 정책 추진 동력을 확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독선적 독단적 도정운영이라는 비판의 빌미를 제공할 수도 있다.

때문에 원지사의 인사 고민은 더 깊을 수밖에 없다. 인사가 늦어 질것이라는 전망은 여기서 비롯된다.

‘인사(人事)가 만사(萬事)’라 했다. ‘인사가 모든 일의 근본이며 시작’이라는 경구(警句)인데 참으로 난감한 상황이다.

민선 7기 원도정의 ‘새판 짜기 인사‘가 더욱 궁금해지고 더 기다려지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관련태그

#N
저작권자 © 제주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